본문 바로가기

포항공과대학교 생명과학과

ENG

정보

언론보도
news_image
보도대상
김상욱 교수
보도매체
조선비즈, Eurekalert!, Sciencedaily
보도일시
2022-06-30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치료제 연구개발 기업 이뮤노바이옴과 포스텍 생명과학과 김상욱 교수팀은 면역항암요법에 반응할 환자를 미리 알아내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되는 개인 맞춤형 정밀 의료 인공지능(AI)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이번에 개발된 정밀 의료 인공지능 기법은 네트워크 기반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통해 면역항암제의 환자 반응성 예측 정확성을 높여 주목받고 있다.  면역 항암치료 전 환자의 면역상태를 나타내는 암 조직의 전사체에 기반한 새로운 바이오마커는 기존 바이오마커 대비 더욱 우수한 치료 효과 예측을 달성했다. 연구 결과는 저명한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 IF 14.919)’ 온라인판에 28일 게재됐다.   Eurekalert! : https://www.eurekalert.org/news-releases/958529 Sciencedaily : https://www.sciencedaily.com/releases/2022/07/220712102724.htm Technology Networks : https://www.technologynetworks.com/drug-discovery/news/machine-learning-method-predicts-cancer-immunotherapy-response-363582  

news_image
보도대상
황인환 교수
보도매체
뉴스워커
보도일시
2022-06-23

전남대 이동욱 교수(바이오에너지공학과. 공동 교신저자)와,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정진승 대학원생(일반대학원 융합식품바이오공학과. 제 1저자), 황인환 포스텍 교수(공동 교신저자), 문병호 학생(공동저자)으로 구성된 공동연구팀은 엽록체 내부 단백질의 수송에 있어서 접힘(folding)이 풀려야 한다는 기존의 이론과는 상반되는 새로운 기작을 제시했다.  미토콘드리아 단백질의 경우에는 기존의 이론과 동일했으나, 엽록체로 수송되는 단백질의 경우에는 GFP 형광단백질의 접힘이 강할수록 수송효율이 증가함을 새롭게 규명했다. 이 연구는 식물학 분야의 저명 학술지인 Plant Physiology에 게재됐다.   뉴스워커: http://www.newswork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2320

news_image
보도대상
황일두 교수
보도매체
연합뉴스, YTN사이언스, 뉴시스, 뉴스1, 서울신문
보도일시
2022-06-23

포스텍 생명과학과 황일두 교수 공동 연구팀이 식물 체내 에너지 분배를 촉진시켜 작물 생산성을 높이는 방법을 개발했다. 애기장대라는 식물을 이용해 체관 발달 조절 및 억제 유전자 ‘JUL1’을 발견하고 토마토에도 똑같은 기능을 하는 유전자(SIJUL)가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SIJUL 조절로 토마토의 열매 수, 중량, 당도 등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SIJUL 유전자를 조절하면 식물 생육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작물 모양, 속성, 항산화 물질, 병충해 저항성 같은 유용 형질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최근 생명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플랜트 바이오테크놀로지 저널’에 실렸다.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20620070300063?input=1195m 뉴시스: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620_0001913614&cID=10807&pID=10800 뉴스1: https://www.news1.kr/articles/?4716677 서울신문: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20620500090&wlog_tag3=naver 헤럴드경제: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20620000569 대구일..

news_image
보도대상
이승우 교수
보도매체
국제신문
보도일시
2022-05-20

포스텍 마이크로바이옴 핵심연구지원센터(센터장 이승우교수)와 부산대병원(의생명연구원/김재호 원장님, 포스텍 출신) 부설연구소는 마이크로바이옴 분야에 대한 공동연구 및 학술·인적 교류 등을 활성화하고 바이오헬스 산업을 선도하기 위한 상호 업무협약을 체결(2022.5.18)하고  공동 학술 심포지엄도 개최했다.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은 인체 등에 존재하는 각종 미생물과 그 유전정보 전체를 뜻하는 것으로, 이를 활용한 치료제 개발이 주목받고 있다. 이승우 센터장은 “양산부산대병원의 풍부한 임상 연구력과 포스텍의 우수한 기초 연구역량을 합치면 국내 마이크로바이옴 분야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고 밝혔다.   국제신문: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700&key=20220519.99099005839

news_image
보도대상
김종경 교수
보도매체
동아사이언스, 매일경제, 서울신문, 전자신문, 연합뉴스
보도일시
2022-05-12

생명과학과 김종경 교수·이지현 박사‧한승민 박사‧박사과정 김소미 씨 연구팀은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 교정 연구단 구본경 부연구단장, 미국 밴더빌트대 최은영 교수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p57 유전자가 위장주세포의 활성을 조절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번 연구는 위 줄기세포에 대한 이해를 한층 높이고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한 연구로서 학계의 호평을 받았고 국제 학술지 ‘셀 스템 셀(Cell Stem Cell)’에 최근 게재됐다.  위 줄기세포의 활성화가 위 점막의 재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향후 위 질환의 이해와 치료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동아사이언스: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54152 매일경제: https://www.mk.co.kr/news/it/view/2022/05/413288/ 서울신문: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20510500048&wlog_tag3=naver 전자신문: https://www.etnews.com/20220510000028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20510113500053?input=1195m 대덕넷: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6839 경북..

12345678910